240516_디모의 코틀린 강의 #14. 고차함수와 람다함수
2024. 5. 20. 13:29ㆍTIL(Today I Learned)
유튜브 - 디모의 코틀린 문법 강의 정리
#14강. 고차함수와 람다함수
1. 고차함수: 함수를 클래스에서 생성한 인스턴스처럼 취급하는 방식
fun main() {
b(::a) // 함수 b를 호출(함수 a를 고차함수 형태로 파라미터화)
}
fun a(str:String) {
println("$str 함수 a")
}
fun b(function: (String) -> Unit){
// 고차함수를 파라미터로 받아올 때: (자료형, 자료형...) -> 자료형(반환형)
function("b가 호출한")
}
// 결괏값: b가 호출한 함수 a
2. 람다함수: 고차함수식을 단순화해서 표현
fun main() {
b(::a)
val c:(String) -> Unit = { str:String -> println("$str 람다함수") }
b(c) // 결괏값: b가 호출한 람다함수
}
fun a(str:String) {
println("$str 함수 a")
}
fun b(function: (String) -> Unit){
function("b가 호출한")
}
// 결괏값: b가 호출한 함수 a
'TIL(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520_디모의 코틀린 강의 #16강. 오브젝트 (0) | 2024.05.20 |
---|---|
240517_디모의 코틀린 강의 #15. 스코프 함수 (0) | 2024.05.20 |
240515_디모의 코틀린 강의 #13강. 변수/함수/클래스의 접근범위와 접근제한자 (0) | 2024.05.14 |
240514_디모의 코틀린 강의 #12강. 기본 프로젝트 구조 (0) | 2024.05.14 |
240513_디모의 코틀린 강의 #11강. 오버라이딩과 추상화 (0) | 2024.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