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Kotlin 기본 문법(14)
-
#2. 변수
# 변수(Variable)- 값을 임시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름을 부여한 것- 이름과 값으로 구성 # 데이터 타입숫자형Double64비트 정수-1.7E+308의 근삿값 ~ 1.7E+308의 근삿값 Float32비트 정수-3.4E+38의 근삿값 ~ 3.4E+38의 근삿값 Long64비트 정수-2E63 ~ 2E63-1 Int32비트 정수-2,147,483,648 ~ 2,147,483,647 Short16비트 정수-32,768 ~ 32,767 Byte8비트 정수-128 ~ 127문자형Char1 개의 문자‘글’ (외따옴표) String여러 개의 문자“여러 개의 글자입니다.” (쌍따옴표)불리언형Booleantrue, false 두 가지 값true 또는 false # 기본 타입: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크기가 미리 ..
2024.06.07 -
1. 코딩 준비하기
# 로그와 로그캣- Log: 코딩을 할 때 코드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앱 외부에 출력하는 정보- Logcat: 출력되는 로그를 모아서 보는 도구 / - 앱을 실행하면 많은 양의 로그가 생성됨- 원하는 로그를 찾기 위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Log 클래스를 코드 중간중간에 적절하게 사용- 앱의 실행 흐름과 결괏값을 확인 가능 # Log 클래스의 5가지 함수- Log.v(verbose): 상세한 로그 내용을 출력- Log. i(information): 개발에 필요한 내용을 출력- Log. d(debug): 정보성의 일반적 메시지를 전달- Log. w(warning): 에러는 아니지만 경고성 메시지를 전달- Log. e(error): 실제 에러 메시지를 전달
2024.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