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54)
-
코드카타 - 약수의 개수와 덧셈
문제 설명 두 정수 left와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left부터 right까지의 모든 수들 중에서,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 수는 더하고,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수는 뺀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left ≤ right ≤ 1,000입출력 예 left right result 13 17 43 24 27 52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다음 표는 13부터 1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 수 약수 약수의 개수 13 1, 13 2 14 1, 2, 7, 14 4 15 1, 3, 5, 15 4 16 1, 2, 4, 8, 16 5 17 1, 17 2 따라서, 13 + 14 + 15 - 16 + 17 = 43을 return 해야 합니다...
2024.06.20 -
240619_TIL
https://skycat1127.tistory.com/93 Android - Layout# 레이아웃- 개념: ViewGroup의 파생 클래스로서, 포함된 View를 정렬하는 기능 # 레이아웃의 종류1) Linear Layout- 자식 뷰들을 수직/수평 배치하는 레이아웃- vertical: 자식 뷰들을 아래로 수직 배열- horiskycat1127.tistory.comhttps://skycat1127.tistory.com/92 Android UI - View & Widget# 안드로이드 UI 설계 개요- 뷰(View): 안드로이드 앱의 UI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 뷰의 구성: 위젯, 레이아웃 1) 위젯(Widget): View의 서브 클래스로서, 앱 화면을 구서하는 시각적인 모양을 지닌 UI 요skyca..
2024.06.19 -
Android - Layout
# 레이아웃- 개념: ViewGroup의 파생 클래스로서, 포함된 View를 정렬하는 기능 # 레이아웃의 종류1) Linear Layout- 자식 뷰들을 수직/수평 배치하는 레이아웃- vertical: 자식 뷰들을 아래로 수직 배열- horizontal: 자식 뷰들을 오른쪽으로 수평 배열- 자식 뷰들은 오직 한 방향으로만 배치(vertical / horizontal)- 위젯의 크기와 관계없이 한 줄로만 배열- 자식 뷰들은 중첩되지 않고 지정한 방향으로만 쌓이는 형태로 표시(stacked)- LinearWeight: 자식 뷰들이 배치될 때 전체 영역 대비 비율의 개념으로 지정할 수 있는 가중치를 설정 2) Relative Layout- 뷰를 서로 간 위치 관계나 컨테이너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지정하여 배치..
2024.06.19 -
Android UI - View & Widget
# 안드로이드 UI 설계 개요- 뷰(View): 안드로이드 앱의 UI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 뷰의 구성: 위젯, 레이아웃 1) 위젯(Widget): View의 서브 클래스로서, 앱 화면을 구서하는 시각적인 모양을 지닌 UI 요소(버튼, 메뉴, 리스트 등) 2) 레이아웃(Layout): ViewGroup의 서브 클래스로서, 다른 뷰를 포함하면서 이들을 정렬하는 기능을 지닌 UI요소 # UI 설계 방법1) XML을 이용하여 설계 - Layout Editor 활용2) XML 파일을 직접 편집 # 레이아웃 - 위젯 - 뷰 관계 (1) 레이아웃 / (2) 위젯 / (3) 뷰 # 위젯- 개념: View의 서브 클래스 중 화면에 보이는 것(TextView, EditText, Button 등) # 뷰- 개념: 모..
2024.06.19 -
모두가 업무용 AI 만들때…'감성 AI' 파고드는 이 CEO의 뚝심
https://www.unicornfactory.co.kr/article/2024060518322634965 모두가 업무용 AI 만들때…'감성 AI' 파고드는 이 CEO의 뚝심 - 유니콘팩토리[스타트UP스토리]김종윤 스캐터랩 대표[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국내 인공지능(AI) 업계에서 '스www.unicornfactory.co.kr 아티클 요약스캐터랩- AI챗봇 '이루다'로 유명한 감성형 AI 스타트업- 생성형AI가 생소하던 시절 이루다를 출시- 성적인 대화나 인종파별 등을 유도하는 악성 유저들로 곤욕을 치르며, AI 윤리의 필요성을 공론화하는 시발점이 됨- 최근 이루다 2.0 출시 / 기존의 문제점 보완(기계가..
2024.06.19 -
코드카타 - 내적
문제 설명 길이가 같은 두 1차원 정수 배열 a,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a와 b의 내적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이때, a와 b의 내적은 a[0]*b[0] + a[1]*b[1] + ... + a[n-1]*b[n-1] 입니다. (n은 a, b의 길이) 제한사항 a, b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a, b의 모든 수는 -1,000 이상 1,000 이하입니다.입출력 예 a b result [1,2,3,4] [-3,-1,0,2] 3 [-1,0,1] [1,0,-1] -2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a와 b의 내적은 1*(-3) + 2*(-1) + 3*0 + 4*2 = 3 입니다. 입출력 예 #2 a와 b의 내적은 (-1)*1 + 0*0 + 1*(-1) = ..
2024.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