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아티클 분석(16)
-
90년된 장난감 회사가 어른 팬들을 활용하는 방법[티타임즈]
https://www.unicornfactory.co.kr/article/2023110317584423328 90년된 장난감 회사가 어른 팬들을 활용하는 방법[티타임즈] - 유니콘팩토리세계 1위 장난감 회사 레고(LEGO)는 1932년 덴마크의 한 목공소에서 시작했다. 자투리 목재로 만든 오리 모양 장난감, 요요, 나무 블록으로 시작했고, 1958년 플라스틱 사출기를 활용한 지금의 레고www.unicornfactory.co.kr 아티클 요약- 레고(LEGO)는 경쟁사 Mattel, Hasbro 등의 매출이 감소하는 와중에도 꾸준한 성장을 이뤄내고 있음.- 레고의 성장 이면에는 탄탄한 팬 커뮤니티가 존재함.- 레고는 창사 이래 플라스틱 블록 장난감의 대표격으로 자리매김해왔으나, 블록형 장난감의 특허 만료 ..
2024.06.24 -
비행기 무덤서 전기차 태어난다…광산 마을서 자란 그녀의 결심[월드콘]
https://www.unicornfactory.co.kr/article/2024041915353043788 비행기 무덤서 전기차 태어난다…광산 마을서 자란 그녀의 결심[월드콘] - 유니콘팩토리싱가폴 스타트업 난디나렘, 항공기 재활용해 탈탄소 해답 제시 보잉7 시리즈 합금 이용하면 배터리 케이스 1700개 생산 가능전세계에서 활약 중인 '월드' 클래스 유니'콘', 혹은 예비 유니콘 기업www.unicornfactory.co.kr 아티클 요약 퇴역 항공기 자재를 재활용해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로 재생산하는 싱가폴 스타트업 '난디나렘'- 국제항공운송협회에 따르면 지난 35년간 1만6000대의 항공기가 노쇠하여 퇴역했고(매년 450대 수준), 매년 퇴역 항공기 숫자가 700대 수준으로 상승 중임.- 퇴역 항공기..
2024.06.20 -
모두가 업무용 AI 만들때…'감성 AI' 파고드는 이 CEO의 뚝심
https://www.unicornfactory.co.kr/article/2024060518322634965 모두가 업무용 AI 만들때…'감성 AI' 파고드는 이 CEO의 뚝심 - 유니콘팩토리[스타트UP스토리]김종윤 스캐터랩 대표[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국내 인공지능(AI) 업계에서 '스www.unicornfactory.co.kr 아티클 요약스캐터랩- AI챗봇 '이루다'로 유명한 감성형 AI 스타트업- 생성형AI가 생소하던 시절 이루다를 출시- 성적인 대화나 인종파별 등을 유도하는 악성 유저들로 곤욕을 치르며, AI 윤리의 필요성을 공론화하는 시발점이 됨- 최근 이루다 2.0 출시 / 기존의 문제점 보완(기계가..
2024.06.19 -
[영상]라인 털리게 생긴 네이버 현 상황 5분 정리
https://youtube.com/watch?v=-b4jAk0fGao 영상 요약- 라인야후는 일본 국민 대부분이 사용하는 메신저 앱임- 현재 라인야후의 소유권은 한국의 네이버가 지분의 50%, 일본의 야후가 지분의 50%를 갖고 있는 A홀딩스에게 있음. - 라인은 출범 당시 한국인이 서비스의 핵심을 맡아 개발했으나, 자국중심주의가 강한 일본에서 반감을 일으키기 쉬웠음- 이에 네이버는 고도의 현지화 전략으로 일본인으로 경영진을 구성함.- 그럼에도 반한 감정을 끊이지 않았으며, 네이버는 일본 최대 포털 야후와 합병 절차를 밟았음. - '19년 일본 내 간편결제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던 야)후와 라인이 연합하면서 반한감정을 불식시킴. (네이버는 라인의 지분 50%를 일본의 소프트뱅크에 양도함.)- 경..
2024.06.18 -
오픈서베이 MZ세대 패션 앱 트렌드 리포트 2024
아티클 요약- MZ세대는 패션 제품 구매 시 온라인의 비중이 약 70%로 오프라인보다 높음.- 평균 2.8개의 패션 쇼핑몰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20대 여성이 3.8개로 가장 많았음- 최근 3개월 내 구매 경험에서 무신사 - 에이블리 - 지그재그 순으로 많았음- 에이블리에서 연간 구매 횟수가 15.2회로 가장 높았으며, 1회 지출 비용은 55,200원으로 가장 낮았음. - 반대로 크림에서는 구매 빈도가 8.8회로 가장 낮았지만, 1회 지출 비용이 188,300원으로 가장 높았음.- 앱 전반에서 카테고리를 확장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은 패션 제품의 비중이 80%로 높았음.- 에이블리/지그재그에서는 상대적으로 화장품/뷰티/향수 제품을 구매하는 비중이 유의미하게 증가했으며, 29cm에서는 타 앱 대..
2024.06.17 -
정신아, 카카오 심장부서 ‘AI+쇄신’ 거듭 강조
https://byline.network/2024/06/12-297/가 지난 11일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 프레스 밋업 공식석상에 취임 이후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data-og-host="byline.network" data-og-source-url="https://byline.network/2024/06/12-297/" data-og-url="https://byline.network/2024/06/12-297/"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74zlR/hyWlkABOFR/kWec8JHDAprSB654ouXgZk/img.jpg?width=1000&height=667&face=159_203_194_242,https://scrap.kakaocdn.n..
2024.06.13